마틴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 전시회 후기, 롯데뮤지엄
2022.12.24 - 2023.03.26
"롯데뮤지엄은 상식과 경계를 뒤엎는 새로운 방식으로 시대를 앞서간 마틴 마르지엘라(Martin Margiela, b. 1957)의 시각 예술을 조명하는 첫 개인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롯데뮤지엄 공간에 따라 새롭게 구성되는 50여점의 작품 설치로, 기존 작품에 퍼포먼스를 접목하거나 미술관 장소 특정적 설치 작품을 의도적으로 계획하고 배치하여 관람객의 개입을 유도하는 작품 등을 선보이며, 라파예트 안티시페이션(Lafayette Anticipations)에서의 첫 전시에서 나아가 마르지엘라의 예술세계를 더욱 확장시킨다. " (롯데뮤지엄)
벨기에 출신인 '마틴 마르지엘라'는 패션 브랜드인 ‘메종 마르지엘라’를 설립한 유명 디자이너다. 마틴 마르지엘라는 기존의 질서에 반하는 독창적이고 전위적인 스타일로 명성을 쌓아왔고, 1997년부터는 '에르메스' 여성복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임명되며 12시즌 동안 에르메스의 간판이기도 했다.
특히 이 시기에 '마틴 마르지엘라'는 에르메스에 가죽과 캐시미어를 적극 도입한 디자인을 선보이며 주목을 끌었다. 이렇게 패션계에 한획을 긋는 활약을 하다가 2008년 메종 마르지엘라의 20주년이 되던 해 돌연 패션계를 은퇴하며 충격을 주었다.
그가 패션계에서 주목받았었고, 오늘날 예술계에서도 이목을 끌고 있는 이유는 기존의 관습과 질서에 대해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걸 어려운 말로 '해체주의 예술'을 하고 있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단편적인 예로 봉재선을 드러낸다거나, 기성복의 사이즈보다 과도하게 큰 사이즈의 옷을 만든다거나 하는 행위를 떠올려 볼 수 있다.
왜 우리는 항상 옷의 이음매를 숨기고 있는가? 숨기는 것이 아름다운 것인가? 왜 우리는 늘 규정된 사이즈의 옷을 입는 것인가? 등 일상적으로 당연시되는 질서에 대한 질문을 해보고, 그 기준을 해체해 보는 것이다. 이번 전시도 그가 해왔던 해체주의 질문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보면 될것같다.
데오드란트의 이미지가 세겨진 리플렛은 입구의 자판기를 통해 뽑을 수 있는데, 리플렛을 뽑는 행위 자체도 이 전시의 잘 짜여진 프로그램 중 하나다. 리플렛을 펼치면 전시의 배치동선이 나오는데 마치 미로처럼 오밀조밀 여러 공간이 이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시퀀스를 가지고 만나게 되는 각각의 독립된 공간은 단 하나의 작품만 전시된다. 그렇기 때문에 전시되는 작품에만 몰입할 수 있다. 사실 하나의 작품을 위해 전용하는 공간이 구획된다는 것은 단순한 평면적 전시를 넘어, 청각과 조명, 그리고 관객이 참여 공간을 함께 디자인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기존의 전시 기법에 해체하며 질문을 던지는 듯 하다.
위의 '헤어 포트레이츠(Hair Portraits)' 작품은 모델의 얼굴을 모두 머리카락으로 가리고 있다. 어쩐지 으시시하지만, 머리카락은 그가 잘 사용하는 작품의 대표적 오브제 중 하나다. 머리카락은 얼굴을 가리는 익명성을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마틴 마르지엘라는 그가 패션계에 종사할 때부터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익명성으로도 유명했다. 자신이 노출되는 것을 극도로 꺼렸기 때문에 함께 일하는 직원들 조차도 마주친 경우가 거의 없을만큼 말이다. 대부분의 업무지시나 협의가 메일이나 팩스를 통해 전달되었고, 대외 인터뷰마저도 서류를 통해 진행했다고 하니.. 얼마나 자신을 숨기고자 노력했는지 알수 있다.
머리카락으로 얼굴을 가리는 행위는 관점에 따라 익명성 외에도 여러 해석들도 존재하지만, 패션을 위한 전시에서는 모델의 얼굴을 가림으로서 모델보다 옷의 디자인에 좀 더 집중해주기를 바랬다고한다.
*참고로 지금은 인터넷이 발달한 덕분에, 구글의 힘을 빌려 마르지엘라의 얼굴을 모두가 알게되었다. 하지만 이 지면에서까지 그의 모습을 드러내고 싶지는 않다.
이러한 익명성은 ‘메종 마르지엘라’ 브랜드에도 잘 드러나는데, 브랜드명을 제품에 드러내지 않고 제품에 제작 코드만 붙여 출시하고 있다. 심지에 어떤 제품에는 이 코드조차 생략하고 코드를 붙였던 네개의 스티치만 남겨놓기도 한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은 이 행위 자체가 브랜드를 표상하는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브랜드에 세겨진 코드의 숫자는 각각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숫자 중 0번은 오튀 꾸트르(Haute couture)에 발표한 아티저널 컬렉션을 의미하는 숫자이다. 즉, 세상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제품이라는 의미니까.. 빈티지샵에서 발견한다면야.. 대박.
백화점에 ‘메종 마르지엘라’ 매장에 가면 모든 직원이 모두 하얀색 가운을 입고있는데, 이것은 돈이 없었던 마르지엘라가 아뜰리에 직원의 유니폼을 고심하면서 선택한 궁여지책 이었다고 한다. 당시는 흰색 가운이 매우 저렴하면서도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는데, 물론 지금은 ‘가능성’이라는 의미가 입고 신비감을 더한 의상이 되었다.
*위 사진에서 보듯 심성아 도슨트님을 비롯한 이 전시의 모든 스태프 분들도 흰색가운을 입고 있는데, 이러한 의미의 연장선으로 보면 좋을 듯 하다.
사실 이번에 열리고 있는 마르지엘라 개인전은 꽤 불친절한 전시이기도 하다. 원래 예술이 친절하지는 않지만 유난히 그런 전시랄까. 해체주의적 기법으로 직관적인 해석이 어렵고, 심지어 작품 앞에 마땅히 있어야할 설명도 찾아볼 수 없다. 만약 패션브랜드 '메종 마르지엘라'의 의상과 모델의 화려함을 상상하고 왔다면, 실망하게 될 수도 있다.
만약 마틴 마르지엘라의 작품에 대한 사전지식이 충분하지 않다면, 도슨트님의 설명을 듣기를 권하고 싶다. 필자는 심성아 도슨트님의 해설을 들으며 감상했는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정말 도움이 되었다. (심성아 도슨트님의 팬임)
위 사진은 언론에 많이 언급되는 레드 네일(Red Nails)라는 작품이다. 우리 신체의 일부를 비약적으로 확대한 것인데. 왼쪽의 모형도 실제 스케일 대비 말도 안될만큼 크게 확대한 것이지만, 오른쪽은 조형은 그 확대를 넘어서는 거대하기 짝이없는 작품이다. 같은 소재, 같은 형태이지만 스케일에 따라 느껴지는 감각과 생각이 어떤지를 묻고 있는 작품이다.
마틴 마르지엘라가 주로 전시에 사용하는 오브제를 살펴보면 '얼굴 없는 머리카락', '매니큐어', '손톱', '염색약', '체모', '데오드란트'인데.., 이 소재들은 엄연히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감추려고 노력하는 것' 혹은 '감추기 위해 사용하는 것'임을 눈치 챌 수 있다.
그가 그의 작품을 통해 질문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렴풋 짐작이 되는 것같지 않는가?.
.
.
.
끝으로 전시를 보고 나오면 새삼 눈에 띄는 입구의 사진들이다. 작품들이 제작되는 과정들을 모아놓은 것인데, 전시장을 돌며 바라봤던 작품들을 다시한번 떠올려보면 좋을 듯 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