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는요.../부유하는

경계를 공간으로 바꾼, 예술 길 '홍제 유연(流緣)'

by soopark '-' 2022. 4. 30.
반응형

예전 학창시절, Borderline 이라는 주제로 재미있는 세미나를 참여한 적이 있다. 거시적인 관점으로 선형이지만 사실 가까이 다가서면 공간이라는 주제였다.

 

'고가 다리'나 '지하터널'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어떻게 하면 그 경계가 공간이 될 수 있을까'를 고민했던 좋은 기회였었다. 

 

존 멀코비치되기의 7.5층


마치 영화 '존말코비치되기(Being John Malkovich)'나 '올드보이' 처럼 엘리베이터 두개의 층을 동시에 누르면 층을 나누고 있는 경계에 숨겨진 또다른 공간이 나타나는 것 처럼말이다. 

홍제천과 연결되는 홍제 유연 진입길
홍제천 위를 올라타고 있는 유진상가

 

홍제 유연은 바로 그런 공간이다. 홍제천이 지하 하수관로로 연결되는 '선형'을 공간으로 치환한 것이다. 

 

하수관로를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공간으로 치환하는 방법은 사실 쉽다. 원래의 홍제천으로 복원하면 된다. 마치 청계천처럼 말이다. 하지만 이 곳은 이게 쉽지 않다.

 

왜냐하면 복개된 홍제천 위가 혼잡한 사거리를 관통하는데다 그 위로 '유진맨션'이라는 큰 건물도 들어섰기 때문이다.  

 

이 얄굳은 건물 유진맨션은 사실 재미있는 역사를 갖고 있다. 남북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해있던 1970년도에 지어진 건물로 군사적 목적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곳의 기둥모듈은 탱크가 중심이다. 유사시 어떻게 활용될 것을 가정했는지 짐작이 가는 부분이다.

 

뿐만 아니다. 1995년 내부순환로 공사를 진행하면서 유진상가 한쪽 타워를 잘라버린 독특한 과거도 있다. 재미있는 점은 여전히 한쪽 타워가 잘린채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건물 철거대신 차선책으로 택한 방법은 지하를 통해 천을 연결하고 그 곳을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그 보행이 가능한 곳을  '공공 미술관'으로 조성하면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가 바로  '홍제 유연'인 것이다.

 

홍제유연을 가로지르는 징검다리
설치예술작품-홍제 마니(摩尼)차
내 인생의 빛나는 순간, 내 인생의 빛을 주제로 시민 1000여 명의 메시지를 담고있다

 

그렇기에 홍제 유연은 마치 동굴로 들어가는 느낌이 있고, 또 대부분의 설치예술 작품이 빛과 물을 활용하고 있다.

팀코워크의 숨길
뮌의 흐르는 빛, 빛의 서사

팀코워크의 조명 예술 작품 '온기'
물의 잔상을 빛과 소리로 표현

 

그동안 버려져있던 도시선형.

 

어쩌면 어둡고 냄새났을 공간이 이러한 공공사업을 통해 좋은 공간으로 태어난 것은 정말 칭찬할 일이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좋은 사례가 생겼다는 점이 무척 고무적이다.

 

홍제 유연은 당연히 무료로 운영되고, 오전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전시를 진행한다.

 

앞서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두께를 갖고있는 도시의 경계를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면 두 영역을 단절하기 위한 경계가 아니라 두 영역을 연결하는 매개체로 새로운 장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계기로 서울이라는 도시가 좀 더 풍성한 이야기를 담은 도시가 되길 기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