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의 숲 */건축과 함께

식물의 표피가 연상되는 마곡 서울식물원 (더시스템랩+삼우)

by scape '-' 2022. 5. 6.
반응형

서울식물원

마곡 서울식물원을 들렀다가 정말 인상적인 온실을 봤어. 지름이 약 100m 높이가 약 30m나 되는 거대한 온실인데, 꽃의 형상같은 외형도 인상적이지만, 시원하게 열려있는 내부 공간은 마치 외국의 유명한 식물원에 온 듯한 착각을 자아낼 만큼 장관이었어. 인상적이 었던 몇가지를 꼽아보자면, 

 

첫번째는 재료 지붕의 재료야.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라는 외장재인데 일종의 막구조라고 볼 수 있어. 빛은 잘 투과시키 면서도 공기층이 있어 단열성능을 갖고 있는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지. 그리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매우 가벼워서(결국 비닐이니까) 건물 구조에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무게가 유리의 1/100정도 될라나?) 그렇기에 장스팬에 적용하기도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형상을 만드는데도 용이해. 음, 위 특징들을 다시한번 되세겨보면 식물원의 외피로 이만한 재료도 없는 것 같다. 그렇지? ^^
 장점만 있냐고? 아니야, 단점도 있어. 시간이 지나면 비닐막 사이에 들어있는 공기가 빠지기 때문에 계속 바람을 불어넣어줘야해. 비용이 많고 적고를 떠나서 일단 유지관리에 그만큼 손이 더 간다는 뜻이야. 지금은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지만 변색이나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있기도 해. 그리고 대형으로 한번에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자세히보면 비닐과 비닐사이를 이어붙인 테가 날 수 밖에 없어. ETFE를 적용한 것이 인상적인 이유가 좋은 재료를 사용해서라기 보다, 이 건물의 성격과 특징을 잘 살리는 외장재료를 선정한 것 같아서야.    

서울식물원

두번째는 온실의 형태야. 

 건물의 층고가 마치 접시처럼 가운데로 갈수록 낮아지거든. 보통은 빗물의 처리를 위해 가운데가 가장 높고 테두리를 낮게 할텐데, 완전히 반대로 디자인 된거지. 처음엔 무척 의아하게 생각했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이러한 형태를 이용해 빗물을 모으고, 모아진 빗물을 다시 조경수로 재사용 한다고해. 이러한 기능적 아이디어도 너무 좋았지만, 사실 나는 이런 부분보다 이러한 형태가 만드는 공간감이 더 흥미로웠어. 온실의 바깥쪽이 층고가 더 높으니까, 중앙에서 바라볼때 탁 트여있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었거든. 음, 온실 계획을 할때도 더 높은 식물을 바깥쪽에 둘러서 식재할 수 있었을 테니까, 테마별로 층고가 높은 공간을 더 많이 할애할 수 있었을것 같아. 지붕의 패턴도 무척 흥미로워. 꼭 현미경으로 보는 식물의 세포같은 느낌을 주거든. 전체적으로 무척 인상적인 형태를 지닌 것은 틀림없어.

서울식물원의 입체적 관람동선

세번째는 관람동선이야. 

 건물의 형태와도 관계가 있을 것 같은데, 마치 원형 피자를 나누어 놓은것처럼 공간을 구분하고 이동하는 것이 무척 직관적으로 느껴졌고, 단순히 단층의 아이레벨(eye level) 관람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구성된 동선계획은 관람의 흥미를 더하기에 충분했었어. 같은 사물이라도 다른 높이에서 바라보게되면 평소에 볼 수 없었던 다른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 것처럼. 나는 식물과 사람이 함께하는 풍경을 찾아 볼 수 있었거든.

 

반응형

댓글